본문 바로가기

일학습병행 목적 : 노동시장의 인력 미스매치 해소

일학습병행은 독일·스위스式 도제제도를 한국실정에 맞게 설계한
"도제식 교육훈련제도"

  • 현장중심 인재육성

  • 청년 조기입직,
    기업 경쟁력 제고

  • 기업 및
    국가경쟁력 도모

일학습병행 운영근거 : 법률에 근거한 사업 운영

직능법 20,22 고용보험법 27,36 근로기준법 ALL /“일학습병행 운영 및 평가 규정”(고용부 고시 제2014-38호)
“사업주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고용부 고시 제2017-15호) /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안(국회 상정)

일학습병행 특징 : 스펙초월 기업맞춤형 인재육성

  • 1교육내용, 교육방법 등 기업 주도
  • 2인증된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훈련
  • 3생산 현장의 시설·장비 활용
  • 4평가를 통한 도제자격 부여

일학습병행 참여대상 : 기업이 직접 인재를 육성하여 경쟁력 제고

일학습병행 참여대상, 기업, 근로자의 정보제공
기업 근로자
  • 고용보험 성립 사업장
  • 상시근로자 규모
  • 기술력 및 시설/장비
  • CEO 의지
  • 임금체불/산재다발 X
  • 고용보험 피보험자
  • 만 15세 이상
  • 선원법, 공무원법 X
  • 재직기간 1년 이내
  • 외국국적자 중 F4, F5, F6 비자소지자

일학습병행 참여형태 : 양질의 우수기업 유치를 통한 훈련수준 제고

공동훈련센터형

주요특징 : 훈련역량 부족 중소기업이 연합하여 인재 육성
OJT : 기업
Off-JT : 공동훈련센터

일학습병행 훈련유형 : 청년 조기입직 기반 강화

재직자 단계

과정운영 : 해당 기업의 근로자로 채용되어 일과 학습을 병행
참여대상 : 신규 채용자 / 입사 1년이내 근로자
훈련기간 : 1년~4년

일학습병행 운영절차 : 일학습병행 참여 A to Z

  1. 기업선정

    수시공모
    현장실사(지부지사)
    최종선정(본부)

  2. 훈련준비

    훈련과정개발(ISC/폴리텍)
    학습근로자 채용(기업 자체)
    양성교육(한기대)

  3. 훈련진행

    훈련실시(기업)
    훈련비 신청(월 1회)
    모니터링(지부지사)

  4. 훈련종료

    내외부평가(기업, 공단)
    자격부여(산업계, 대학)
    일반근로자 전환(기업)

일학습병행 훈련방식 : OJT와 Off-JT의 상호 연계

일학습병행 훈련방식, OJT와 Off-JT의 정보제공
OJT (On the Job Training) Off-JT (Off the Job Training)
  • 기업현장교사의 밀착관리
  • 1일 6시간 /1개월 60시간 이내
  • 사전에 준비된 훈련계획
  • 업무현장의 연속적 훈련
  • 근로현장과 분리된 시설
  • 대학, 공동훈련센터 등 위탁
  • 사전에 준비된 훈련계획
  • 고품질, 교육에 집중 가능

일학습병행 성과 : 제도시행 3년 만에 가시적 성과 거양

일학습병행 성과 정보제공
학습근로자의 91.1% 정규직 기업 만족도 4.1 (5점 만점)
(16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습근로자 임금은
최저임금의 1.3배 수준
1인당 생산성 1,982만원
(미참여기업 1,394만원)
(16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일자리 창출유공 대통령 표창
(16년. 한국산업인력공단)
OECD 일학습병행제 확대 권고
(16년. OECD 한국경제보고서)

일학습병행 기대효과 : 범 국가적 체계적 인재육성시스템 정착 강화

일학습병행 성과 정보제공
구분 기대효과
국가 청년실업 해소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
기업 숙련기술인 육성 재교육 비용 최소화
근로자 조기 취업 자격 취득

콘텐츠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