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인력 채용하여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하고 그 역량을 국가 또는 해당 산업계가 평가하는 자격 또는 학위로 인정하는 제도
듀얼공동훈련센터 소개
자체 현장의훈련(OFF-JT)여건이 어려운 기업들이 본교와 협약체결을 통하여 공동으로 훈련을 실시하는 형태로 듀얼공동훈련센터가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에 따라 체계적인 현장의훈련(OFF-JT)제공 및 현장훈련(OJT)을 지원
참여 자격
- 참여대상 기업 : 신용등급 B등급 이상 상시근로자 20인 이상 기업
단, 월드클래스300, 명장기업. BestHRD 기업, 강소기업, 혁신기업 등 대외적으로 기술력, 발전가능성 등을 인정받은 기업이나 기업발굴전담기관 및 공동훈련센터가 발굴 추천한 기업 등은 상시근로자 5인까지 예외적용 가능 - 학습근로자 : 훈련실시일 기준1년 이내 입사한 근로자
참여 유형
구분 | 주요특징 | 관리주체 | OFF-JT | OJT |
---|---|---|---|---|
재직자 단계 | 학교를 졸업한 신규입직자 또는 훈련실시일 기준으로 1년이내 입직자 대상으로 훈련 실시 | 기업 또는 공동훈련센터 | 공동훈련센터 | 기업 |
재학생 단계 |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특성화고 재학생(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또는 전문대 재학생(P-Tech)대상으로 실시 | 기업 참여학교 | 참여학교 | 기업 |
교육훈련 참여방법
- 기업선정
- 학습근로자 선발·계약
- 현장훈련(OFF-JT)현장외 훈련(OJT
- 학습근로자 교육훈련성과 평가 : 기업자체평가(1차), 외부기관평가(2차)
- 자격(학위) 부여
- 해당기업 일반근로자로 전환

- 학습근로자 → 채용 → 기업현장에서훈련(OJT) + 교육시설에서 이론교육 (Off-JT) → 평가및수료 → 자격(학력)부여
참여시 기대효과
참여기업
- 현장실무형 인재 양성
- 잠재 인재의 효과적인 선별과 선점
- 현업 정착비용(재교육 비용) 절감
- 직무와 인력 간 미스매치 해소
- 장기근속유도
학습근로자
- 취업준비기간 단축으로 빠른 경제적 안정 도모
- 현장 훈련이 포함되어 있어 업무적응력 업(Up)
- 스펙 쌓기에 드는 비용과 시간 절감
- 훈련생이 아닌 학습근로자 신분으로 자격과 학위취득 가능
참여시 지원내용
현장훈련(OJT)비용 | 직종별단가 × 조정계수(3) ×인원 × 시간 (예시) 3,888(직종별단가:기계품질관리) × 3(조정계수)×1명(인원)×60(시간) = 월 61만원 |
---|---|
학습근로지원금 | 최대 월 40만원(훈련실시기간 동안 지원, 1인 연간 480만원) |
기업현장교사 수당 | 최대 연간 1,600만원(학습근로자 수에 따라 차등지급) |
HRD담당자 수당 | 평균 월 25만원(연간 300만원 한도) |
전담인력 양성 | 100만원 내외 병역특례업제 지정 1순위, 산업기능요원 배정 1순위 |